08.12.2013
원문보기(사진포함) http://cafe.daum.net/vrckorea/TJDW/1
버기 업데이트를 앞두고, VRC에 관한 관심들이 생기는것 같아 먼저 접한 사람으로서 약간의 Tip? 을 올려봅니다.
먼 개소리야~ 싶으신 분은 안보셔도 될 내용입니다. ^^
먼저 VRC 홈페이지에(www.vrcpro.com) 접속 후 가입을 하시고
(가입시에 추천인에 제 아이디 써주시면 더 좋고, 이유는 가입후 10유료 이상 결재를 하게되면 추천인과 추천 받은사람에게 각 10유로씩 지급이 된다네요. 저만 좋자고 하는건 아닙니다 ^^)
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우측 상단에 다운로드 버튼누르시고 다운 받으신 후 일반 프로그램과 같이 설치를 합니다.
설치를 마치고 실행시키면 조~금 많은 양의 패치가 될겁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세요 ㅡㅡ; (인내심 없는분은 아주 한가하실때 미리 패치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추가] 조종기 캘리브레이션 - 최초1회(게임 실행전에 하시는게 편해요~)
아래 사진대로 따라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속성버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보정 버튼 누르시고 지시대로 따라서 하시면 설정 끝.
이제 실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최초 실행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로그인창에 넣고 확인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첫째로 그래픽 옵션 입니다. (메인화면에서 Options 클릭)
일반 게임들과 비슷한 설정창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V-SYNC" 이 항목은 아마 무조건 비활성 시켜야 될겁니다. 이유는 아래서 다시 설명... 그리고 FPS는 켜두시거나 최소한 세팅 완료시까지 켜두시길 권장합니다.
나머지 옵션들은 상황에 맞게 낮추거나 높여서 (본인PC사양에 맞추어 사용)
아래 사진은 컨트롤러 (조종기) 설정화면입니다. 여기서 중립 및, 좌우 움직임 값을 확인해봅니다. 정상이라면 중립시 움직임이 없고 동작시 전후좌우 100% 이동해야 정상입니다.
만일 크게 이상한 부분이 있으면 Calibrate버튼을 누르시면 처음에 설정한 화면이 나오며 재설정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 다음 위의사진에서 Customize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사진처럼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각 스티어링과 엑셀 Deadzone세팅은 조종기를 움직였을때 반응이 없는 구간을 설정하는 부분이며. saturation은 EPA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위 사진은 제가 사용하는 세팅이며, 취향에 맞게 해보시고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위세팅대로 적용시 중립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보이신다면, deadzone 퍼센트를 조금 높게 잡아주셔야 됩니다.
마지막으로 아래사진을 보면 우측 하단에 FPS가 표시되있습니다. 자신의 FPS를 확인하여 너무 낮게 나오면 (제 경험기준 200이하) 그래픽 설정을 한단계씩 낮춰 보세요~ 경험상 최하 200이상을 유지하시길 권장하며, 멀티플레이 등에서는 FPS가 조금 하락할 수 있습니다.
(FPS가 너무 낮은경우 강하게 얘를들어 3만원짜리 조종기로 조종하는 느낌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ㅎㅎ)
참고로 조종기를 연결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저가의 시뮬코드 사용시 반응이 많이 안좋을 수 있습니다. VRC전용 아답터나 그이상의 제품(해외 판매) 사용을 권합니다.
Comments
Only active members can post comments
No comments.